프로젝트 개요
목적 WHY
프로토타입 앱을 바탕으로 포슬리 서비스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개선
•
포슬리는 신생 서비스로, 초기 런칭 단계에서는 네트워크 자원과 브랜드 가치가 부족함. 따라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의 차별성과 효용성을 강조하여 유저에게 다가가고자 함.
•
포슬리의 차별화 요소를 ‘미션’과 ‘후원’으로 정의함.
•
미션을 통해 후원금을 얻고, 후원금으로 다른 유저에게 미션을 부여하는 기능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. 따라서 기능적으로 ‘미션'에 중점을 둔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함.
프로토타입 앱 분석
처음으로 앱을 사용하는 유저의 입장에서 서비스 매력도와 경험을 분석함.
•
미션은 유저 대 유저 간 1:1 로 수행함. → 누가 미션을 보내주지 않으면 기능 경험 불가능.
•
상대방에게 미션을 보내기 위해서는 당장 후원금(=충전금)이 필요함.
•
미션 수행 후 상대방의 피드백과 보상을 받기까지 하루 이상 소요됨.
•
다른 사람들의 미션 수행 내용을 탐색하기 어려움.
메인 기능의 접근성이 낮고 인터랙션 시간의 지연으로 초기 유저가 빠르게 흥미를 잃고 서비스를 이탈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.
목표 GOAL
•
메인 목표 : 초기 사용자 이탈 방지를 위해 미션 기능을 중심으로 서비스 개선.
•
서브 목표 : 개선된 기능에 맞춰 전반적인 사용성을 향상.
실행 HOW TO
1:N 미션 기능 추가
유저가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미션 기능을 새롭게 추가.
ex)포슬리가 주는 미션
→
➣ 회원가입 후 즉시 경험 가능.
➣ 유저의 미션 기능 학습 유도.
➣ 미션으로 얻은 보상을 다시 미션에 사용할 수 있어 트랜잭션 증가 기대.
검색(탐색) 기능 개선
미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브라우징 가능하도록 UX.UI 개선
→
➣ 다른 유저의 미션을 탐색하며 기능 학습 & 볼거리 제공 기대.
➣ 미션 참여를 유도.
온보딩 퀘스트 추가
첫 시작 시 메인 기능을 학습하고 보상을 가져가는 퀘스트 추가.
→
➣ 할 거리 & 보상 지급으로 초기 이탈 방지.
➣ 보상 규모를 앱 홍보 마케팅에 활용.
상세 수행 내용
수행 업무
•
서비스 개선 기획
•
화면 설계
1. 크라우드 미션(1:N) 기능 추가
기존 미션 구조
•
유저에게 유저가 1 : 1 로 요청하는 방식.
•
누군가에게 미션을 받아야지만 수행해볼 수 있음. → 기능을 체험하기까지 거쳐야 할 단계가 많음.
아는 사람을 회원가입 시키거나, 앱 내에서 다른 유저와 친분을 쌓고 미션을 주고받기를 기다려야 함.
[미션 수행 프로세스]
•
미션을 보내고 / 상대방이 수락하고 / 수행하고 / 검수하고 / 피드백을 받기까지 최소 하루 이상이 소요됨.
•
즉각적인 피드백과 보상이 없어 유저 이탈 가능성 높음.
(신규) 크라우드 미션 구조
•
포슬리가 주최하거나 혹은 포슬리의 승인을 받은 특정 앰버서더 유저가 포슬리의 모든 유저에게 보내는 미션.
[미션 수행 프로세스]
•
생성된 크라우드 미션은 별도 스택에 쌓이고, 개인 유저는 그 중 원하는 크라우드 미션을 골라서 수락-수행하는 구조.
•
수행된 미션은 포슬리에서 자체적으로 실시간 검수처리 하여 보상을 빠르게 지급.
•
서비스 초기 단계에선 유저가 다양한 미션을 고를 수 있도록 포슬리 주최의 크라우드 미션을 다수 생성하고 매주 업데이트 함.
UI 설계
받은 미션 페이지
•
크라우드 미션 영역을 별도로 분리해 참여 유도.
•
그 외 미션을 받은 미션과 보낸 미션, 그 안에서 수락 전 / 진행 중 / 종료로 세부 분류하여 설계.
크라우드 미션 페이지
•
언제든지 다양한 크라우드 미션을 열람하고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별도 조회 페이지 추가.
•
난이도/보상별로 다양하게 기획하여 업데이트.
미션 보내기 페이지
•
개인에게 보내는 공개 미션과 포밀리 미션, 그리고 크라우드 미션으로 분기.
•
포슬리 앰버서더(메인 크리에이터)들에게도 크라우드 미션 생성 권한을 부여함.
•
추가된 기능에 맞춰 미션 보내기 페이지 재구성.
2. 검색(탐색) 기능 개선
•
미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브라우징 가능하도록 UX.UI 개선.
•
다른 유저의 미션을 탐색하며 기능을 학습하고 볼거리를 적극 노출.
프로토타입 버전의 검색 페이지
•
추천 계정과 키워드, 인기 게시물로 구성.
•
미션 콘텐츠가 우선 노출되도록 개선 필요.
신규 검색 페이지
•
미션 중심 추천 게시글 형태로 재구성.
•
해시태그=미션 키워드로 활용.
3. 온보딩 퀘스트 추가
•
앱의 주요 기능을 학습하며 보상을 얻고, 다시 그 보상을 활용해 미션/후원 등에 참여하면서 활동 활성화를 유도하는 온보딩 퀘스트 추가.
•
퀘스트만을 위한 별도 페이지를 분기하지 않고, 앱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성과를 달성하도록 구성.
온보딩 퀘스트 내용
•
반려동물 프로필 등록
•
가입 선물로 받은 후원금 확인 → 지갑 기능(충전/환전) 학습
•
크라우드 미션 참여하기
•
미션 받아보기 / 줘보기
•
팔로우 / 후원해보기
프로필 등록 안내
•
앱 가입 시에 반려동물 프로필 등록 + 보상을 안내하며 퀘스트 수행 유도.
퀘스트 성과 조회
•
기존에 개발된 발자취(알림) 탭을 활용해 퀘스트 노출 & 달성 알림.
4. 기타 사용성 개선
메인화면
•
미션 타입 추가, 회원 구분(일반/앰버서더), 후원 기능 추가 등으로 콘텐츠 조회 화면 재구성.
구독 개념 정리
•
기존에 ‘가디언’ ‘가디언 하기’로 정의되었던 정기 후원 방식을 친근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재구성.
•
기존 SNS 처럼 소식을 받아보는 유저 = 팔로워 / 팔로우하기
•
정기적으로 후원하고 프라이빗 소통을 하는 유저 = 포밀리 / 포밀리 맺기
•
구독 / 후원 개념 정리에 따른 프로필 페이지 재구성.
•
포밀리 전용 콘텐츠 / 공개 콘텐츠 등 구분 지표 추가.
후원 내역
•
포스트 당 후원한 내역 조회 페이지 추가.
•
팔로워/포밀리 구분에 따른 리스트 구성 수정.